건강도 챙기고,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도 받고!
정부가 운영 중인 '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', 제대로 알고 활용하면 연 최대 8만 원 상당의 포인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.
2025년 기준 최신 내용으로 상세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✅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란?
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(이하 '건실지원금')는 건강한 생활 습관을 실천하는 국민에게 건강포인트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.
이 포인트는 문화상품권, 모바일 쿠폰, 지역사랑상품권 등으로 전환해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현금성 인센티브로 제공되며,
생활습관 개선, 질병 예방, 의료비 절감을 동시에 노리는 대표적인 예방중심 건강관리 정책입니다.
✅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2025년 기준, 아래 대상자에게 우선 제공됩니다.
일반 국민 : 희망자 누구나 신청 가능 (선착순 모집)
건강위험군 : 고혈압·당뇨 등 만성질환 전 단계자
저소득층 : 지역가입자 중 건강위험 요소 보유자 우선 선발
건강생활지원센터 소재 지역 주민 : 지역 중심 건강관리 프로그램 연계
✅ 주의: 전국 확대는 아직 미정이며, 현재는 시범 지역 중심으로 운영됩니다.
(2025년에는 서울 은평구, 경남 김해시 등 24개 시범지역 중심 운영)
2025년 신청 일정 및 방법
신청 기간 : 연중 상시 (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)
신청 방법
① 건강보험공단 지사 방문
② 건강생활지원센터 또는 보건소 방문
③ 정부24 일부 지자체 온라인 신청
준비 서류 : 주민등록증 등 신분증, 건강보험증
비용 전액 무료
✅ 어떻게 포인트를 받을 수 있나요?
포인트는 단순 ‘운동’이 아니라, 생활 습관 전반의 개선을 장려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2025년 기준 포인트 지급 기준 (연 최대 8만 포인트)
총합: 연 최대 80,000포인트!
✅ 어떤 앱이 필요한가요?
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를 참여하려면 걸음 수 측정 및 자가건강기록 앱이 필요합니다.
워크온 (WalkOn) 걷기 기록 연동
헬스온 (HealthOn) 보건소 프로그램 연동
건강in (건강보험공단) 건강 기록, 건강검진 결과 확인
지자체 자체 앱 서울은평구 등 일부 지역 운영 중
워크온은 삼성헬스, 구글피트니스와도 연동 가능하여스마트워치 사용자도 쉽게 기록 가능합니다.
✅ 포인트 사용처는?
지급받은 포인트는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, 지자체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환급 또는 교환이 가능합니다.
문화상품권 전환 도서, 영화관, 온라인쇼핑몰 등 사용 가능
모바일 쿠폰 GS25, CU, 이마트24 등 편의점 상품권
지역사랑상품권 전환 오프라인 지역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
건강용품 교환 혈압계, 손 세정제 등 (일부 지자체)
✅ 어떤 방식으로 참여가 진행되나요?
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는 단순 포인트 적립이 아니라
아래와 같은 건강관리 루틴을 만들어 줍니다.
- 참여 신청 → 건강상담 → 케어플랜 수립
- 매일 걷기 실천 (앱 기록)
- 자가측정(혈압/혈당) 주기적 입력
- 보건소 건강 교육 프로그램 참여
- 정기적으로 건강전문가 점검
- 포인트 적립 및 모바일 환급
포인트 적립은 보통 월 단위, 분기 단위로 확인되며 실적 미달 시 일부 항목에서 누락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앱 확인과 실천 체크가 중요합니다.
✅ 어떤 지역에서 시행 중인가요? (2025년 시범지역 예시)
서울 은평구, 도봉구, 강동구
경기 시흥시, 안산시, 안성시
부산 사하구, 수영구
경남 김해시, 양산시
전남 순천시, 해남군
강원 강릉시, 원주시
충남 아산시, 논산시
✅ 매년 지자체 확대 중이므로, 거주지 보건소 또는 건강생활지원센터에 문의하면 자세한 참여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✅ 꿀팁: 이런 분께 강력 추천합니다!
- 매일 걷기 운동하는데, 보상까지 받고 싶은 분
- 만성질환 위험군 (당뇨, 고혈압 가족력 등)
- 보건소 건강프로그램 참여 경험 있는 분
- 디지털 헬스 앱 활용 가능한 중장년층
- 부모님에게 건강관리 습관 선물하고 싶은 자녀
건강은 꾸준함, 지원은 지금부터 ‘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’는 단순한 포인트 적립을 넘어, 국민 전체의 건강 자산을 키우는 사회적 프로젝트입니다. 정부는 이 제도를 2026년부터 전국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, 현재는 예산과 시스템을 기반으로 지자체별 선착순 운영되고 있습니다.
앱 설치만으로도 시작할 수 있는 건강관리, 이제는 보상도 받으면서 실천해보는 건 어떨까요?
'경제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과 일본의 관세 협상에 비해 우리가 협상을 잘한 부분 (5) | 2025.08.01 |
---|---|
한국과 미국 관세 빅딜 타결! 주요 쟁점 해부 (4) | 2025.08.01 |
최대 9.5% 금리를 받을 수 있는 정부 정책 적금 '청년도약계자' 신청안 (6) | 2025.07.30 |
혼인신고만 잘해도 10억 번다. 신혼부부 내집 마련 전략 총정리 (4) | 2025.07.29 |
이달 22일부터 단통법 폐지…'요금할인+추가지원금' 동시혜택 가능! 바뀌는 내용 총정리 (2) | 2025.07.24 |